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덤프버전 :

분류

방송사 파일:KBS 로고(1984-2023).svg
채널 파일:KBS 1Radio 로고.svg
기획·제작 파일:KBS_News_2023.png
방송 시간
파일:KBS 1Radio 로고.svg
19:00~19:20 (평일), 19:00~19:15 (명절 연휴)
진행 평일 남현종
휴일 무작위

1. 개요
2. 출연자
3. 코너
4. 시그널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평일(주중) 19시에 방송하는 KBS 1라디오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 편성표에는 '1R 저녁 종합뉴스'로 명시된다. 대부분의 공휴일에도 그대로 방송하며, 명절 연휴에는 15분으로 단축 방송한다. 주말 19시에는 KBS 제1라디오 7시 뉴스라는 타이틀로 5분 진행한다.

2000년 서울에서 열린 제3차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ASEM) 당시에는 저녁종합뉴스 시작 전인 18시 55분부터 영어 뉴스를 5분 간 진행하였다.[1]

이 프로그램은 저녁방송이 정규화된 1950년대 이래 KBS에서 가장 오래 된 라디오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2] 이는 이웃나라 일본도 마찬가지여서, 이쪽은 TV 뉴스도 7시 정각이 메인이다.


2. 출연자[편집]


  • 앵커
    • 평일 : 남현종 아나운서
    • 휴일 : 무작위

3. 코너[편집]




4. 시그널[편집]


1R 정오 종합뉴스와는 달리 오프닝 시그널이 존재하며 뉴스와 화제, 뉴스 중계탑과 같은 음악을 사용한다.

2022년 1월 4일 KBS 제1라디오 저녁종합뉴스 오프닝 및 엔딩.

KBS 제1방송 오늘의 뉴스 시절 오프닝. 이 당시부터 2010년까지 뉴스와 화제, 뉴스 중계탑과 마찬가지로 요한 슈트라우스 2세Entrance march를 오프닝 시그널로 사용했다.

1986년부터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로 변경 후 2009년까지 사용했던 오프닝과 엔딩. 역시나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Entrance March를 사용한다. 해당 방송분은 2007년 11월 15일 방송분으로 당시 앵커는 故(고) 박태남 前 아나운서, 김윤지 아나운서.


5. 둘러보기[편집]


파일:KBS_News_2023.png
[ 펼치기 · 접기 ]
### 1TV
1TV
(KBS NEWS)
파일:KBS_News_9_2023.png
파일:KBS_News_Plaza_2023.png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_News_12_2023.png
21:00월~토 06:00월~토 09:30평일 12:00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1 사사건건 로고.jpg
파일:KBS_News_5_2023.png
파일:KBS_News_7_2023.png
평일 14:00평일 16:00평일 17:00평일 19:00
파일:KBS_News_Line_W_2023.png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election3.png
월 22:55
화~금 22:50
토 24:05
일 24:10
법정선거일 16:00
파일:KBS_News_2023.png
휴일 12:00, 17:00 / 주말 19:00 / 일 07:00
2TV
(KBS 뉴스타임)
파일:KBS 아침뉴스타임 로고(2020).png
파일:KBS 지구촌뉴스 로고.png
파일:KBS 뉴스타임 로고(2020).png
파일:KBS_News_6_2023.png
평일 09:00평일 10:40평일 15:00월~목 18:00
제1라디오
정시 뉴스뉴스와 화제정오 종합뉴스뉴스 중계탑
매일평일 07:0012:00평일 14:00
저녁 종합뉴스
평일 19:00
제3라디오
정시 뉴스
평일 10:00, 12:00, 14:00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
평일 18:30
한민족방송
정시 뉴스
16:00, 18:00
평일 13:00, 20:00
인터넷
파일:이광용의옐카3(2).png
파일:크랩_KLAB_로고.png
파일:댓글 읽어주는 기자들 유튜브 로고.jpg
목요일상시상시
통합뉴스룸 제작 시사 대담 프로그램은 일요진단 라이브 문서를,
통합뉴스룸 제작 북한 전문 시사 프로그램은 남북의 창 문서를,
통합뉴스룸 제작 재난 전문 시사 프로그램은 KBS 재난방송센터 문서를,
시사제작국 제작 프로그램은 시사기획 창추적 60분,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9층 시사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파일:kbsrtransport.png
파일:KBS 1Radio 로고 화이트.svg
18:00 - 19:0019:00 - 20:0020:00 - 21:00
주진우 라이브(2부)1R 저녁종합뉴스KBS 열린토론
1R 18시 뉴스1R 19시 뉴스(주말)스포츠 스포츠(평일 20:30)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1부)KBS 열린토론(평일 19:20)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2부)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3부)
함께하는 세상(토 20:30)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일 20:30)
지구를 위한 새로고침,
습관을 바꾸는 라디오(18:56)
희망충전 대한민국(재)(20:56)
58분 날씨(18:58)58분 날씨(주말)(19:58)58분 날씨(20:5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4:15:42에 나무위키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당시만 해도 대한민국의 위상이 지금같지 않아서, 이 때 각국 정상이 모이는 회의는 무슨 올림픽이나 1993 대전 엑스포급 까지는 아니어도 꽤 큰 행사로 여겨졌다. 이런 경향은 2008년 G20 정상회의가 마지막이었고 그 이후로는 심지어 대한민국에서 아시안 게임이나 동계올림픽을 열어도 정부의 전폭지원과 언론의 미디어 샤워를 입는 일은 사라지다시피 했다. 물론 동계올림픽은 그나마 올림픽이라 중계는 해 줬지만 1988 서울 올림픽처럼 방송국에서 춘향전을 새로 제작하고 그걸 또 영어로 자막 송출하고 이러지는 않았다.[2] 뉴스가 아닌 레귤러 프로그램으로서 제일 오래 된 장수 프로그램은 KBS 무대.